독립출판은 그 행위나 방식을 지칭하는 용어이므로 정식으로 등록된 출판사 형태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독립출판 (출판사가 아닌 경우):
개인 창작자가 출판사로 정식 등록하지 않고, 책의 기획부터 제작, 유통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주도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개인이 직접 원고를 쓰고 편집, 디자인하여 파일을 만든 후 아마존 KDP 같은 플랫폼에 직접 등록하여 판매하거나, 소량 인쇄하여 독립서점 등에 위탁 판매하거나 직접 판매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창작자는 '출판 행위'를 하는 주체이지만, 법적인 사업체로서의 '출판사'는 아니다.
주의: 한국에서 ISBN(국제표준도서번호)을 발급받아 정식 유통을 하려면 일반적으로 '출판사 신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ISBN 없이 유통하거나 해외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국내에서 독립출판을 하더라도 결국 출판사 등록을 하는 경우가 많다. 개인 명의로도 ISBN 발급이 가능은 하지만 절차가 다를 수 있다.
2. 독립출판 (출판사인 경우):
1인출판사 또는 소규모출판사가 대형 출판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인 방식으로 책을 출판하는 경우이다.
이들은 정식으로 사업자 등록 및 출판사 신고를 마친 '출판사'이다.
하지만 운영 방식, 추구하는 가치(상업성보다는 다양성, 실험성 등), 규모 면에서 독립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기 때문에 '독립출판'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 경우, 독립출판은 이들 출판사의 '운영 방식' 또는 '정체성'을 나타내는 말이 된다.
결론적으로, 독립출판은 '어떻게' 출판하는가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다. (대형 시스템에서 독립적으로, 자율성을 가지고)
출판사는 '누가' 출판하는가의 법적/사업적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등록된 사업체)
따라서 독립출판은 '등록된 출판사'가 할 수도 있고, '등록되지 않은 개인/단체'가 할 수도 있다. 다만, 국내 유통 현실를 고려하면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출판사 형태가 더 흔하다고 볼 수 있다.
* 아마존 KDP (Kindle Direct Publishing)를 통한 개인 판매
아마존 KDP는 개인 저자가 별도의 출판사 등록 없이 직접 자신의 전자책(Kindle)이나 POD(주문형 인쇄) 방식의 종이책을 출판하고 아마존 플랫폼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저자는 KDP 계정을 만들고, 원고 파일(전자책용 또는 인쇄용)과 표지 이미지, 도서 정보 등을 직접 업로드하여 판매를 시작할 수 있다.
이는 국내 대형 서점(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등)이 일반적으로 정식 출판사와의 계약을 통해 도서를 공급받는 시스템과는 다른, 개인에게 훨씬 개방적인 방식이다.
*아마존 KDP와 ISBN
전자책(Kindle E-book): 아마존에서 킨들 전자책을 판매할 때는 ISBN이 필수가 아니다. 아마존은 자체적인 식별 번호인 ASIN(Amazon Standard Identification Number)을 자동으로 부여하여 관리한다. 물론, 저자가 별도로 ISBN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의무 사항은 아니다. 물론 ASIN은 아마존 내에서만 판매가능하다.
종이책(Paperback/Hardcover via KDP Print): 아마존 KDP를 통해 POD 방식으로 종이책을 출판할 경우, ISBN이 필요하다. 이때 두 가지 옵션이 있다:
-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무료 ISBN 사용: KDP에서 무료로 ISBN을 제공한다. 이 ISBN을 사용하면 아마존 및 그 파트너 채널을 통해서만 유통할 수 있으며, 발행처(Publisher of Record) 정보에 아마존 관련 명칭(예: "Independently published")이 들어갈 수 있다.
- 자신의 ISBN 사용: 저자가 직접 구매한 ISBN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자 본인 또는 자신의 출판사 이름을 발행처로 명시할 수 있으며, 아마존 외의 다른 유통 채널(다른 서점, 도매상 등)을 통해서도 책을 유통할 수 있는 유연성이 생깁니다.
국내 주요 서점 유통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출판사 등록 및 ISBN 발급이 필요하지만,
아마존 KDP에서는 개인이 직접 판매 위탁(자가 출판)을 할 수 있으며,
전자책의 경우 ISBN 없이도 ASIN으로 판매가 가능하고,
종이책의 경우 ISBN이 필요하지만, 아마존 자체에서 무료로 제공하거나 자신이 구입한 ISBN을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독립출판의 경우, 출판사 등록을 하지 않고 하는 경우이다. 출판사 등록을 한 경우에는 국내에서 ISBN을 발급받고, 국외에서도 판매 가능하다.
어쨌든,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많은 독립 작가들이 아마존 KDP를 글로벌 시장 진출 또는 국내 유통의 대안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NFT기반 전자책 인증 시스템이란, (1) | 2025.04.26 |
---|---|
우리나라의 ISBN발급처와 미국의 ISBN발급처 (4) | 2025.04.22 |
독립 출판이란 무엇이고, 자비 출판은 무엇인가? (1) | 2025.04.21 |
도서에 ISBN 번호를 부여 받는 것의 효과? (6) | 2025.04.14 |
전자책 저작권 반드시 저작권 등록해야 하나? (5)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