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부터 살펴보자면, 194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그것은 미국의 과학자이자 아날로그 컴퓨터의 선구자인 '버니바 부시(Vannevar Bush)'가 1945년에 '더 애틀란틱( The Atlantic-시사주간지)'에 발표한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 As we may think)"라는 글에서 제안한 '메멕스(Memex)'라는 개념 때문이다.
메멕스Memex ( Memory Extender -기억 확장기)
부시가 상상한 메멕스는 개인이 책, 기록, 통신문 등을 저장하고, 이를 매우 빠르고 유연하게 참조할 수 있는 기계 장치였다. 이는 마이크로필름 기술을 기반으로 했지만, 정보를 서로 연결(linking)하고 연관 경로를 따라 탐색하는 기능 (오늘날 하이퍼텍스트의 시초)를 구상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는 본질적으로 방대한 텍스트 정보를 기계적으로 저장하고 접근하는 방식에 대한 비전이었다. 부시는 이러한 개념을 주창함으로써 오늘날의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발전에 영감을 주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메멕스는 실제로 구현된 장치가 아니었고,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디지털 전자책과는 기술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마이크로필름 기반의 기계장치에 가까웠다.
그러므로 전자적. 기계적 수단을 이용해 방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연결하여 접근하는 개념적 토대는 1940년대 버니바 부시가 제시했지만, 컴퓨터를 이용해 텍스트를 디지털화하고 공유하는 실질적인 디지털 전자책의 시작은 1971년 마이클 하트의 구텐베르크 프로젝트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이클 S.하트 (Michael S. Hart)가 구텐베르크 프로젝트(Project Gutenberg)를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디지털화한 문서는 미국 독립 선언서였다.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의 목표는 저작권이 만료된 작품들을 디지털 형태로 만들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자료실 > 출판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판 산업 발전 방안 실태 조사 - 출판 사업체 대상 설문 조사 결과 (4) | 2025.05.26 |
---|---|
전자책 단말기의 등장 (3) | 2025.05.01 |
전자책 제작 툴 E-Book Creation Tool (2) | 2025.04.27 |
크로스 미디어 콘텐츠 Cross-Media Content란, (2) | 2025.04.27 |
블록체인 -NFT기반 전자책 인증 시스템이란, (1)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