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헌터란, 문자 그대로 식물 사냥꾼이다. 이들은 주로 희귀하거나 새로운 식물 종을 찾아서 수집하고, 이를 본국이나 의뢰자에게 가져다 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다.
주로 17세기부터 20세기 초반, 특히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활동이 활발했다. 유럽의 제국주의 확장 및 과학적 탐험의 시대와 맞물려 있다.
* 목적
- 원예 및 조경 : 새로운 관상용 식물을 도입하여 정원이나 온실을 꾸미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주로 부유층, 귀족, 왕족의 의뢰가 있다.
- 학술 연구 : 식물원이나 대학 등 연구 기관에서 새로운 식물 종을 분류하고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 경제적 목적 : 차, 고무, 향신료, 약용 식물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식물을 찾아 재배하거나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 활동
- 전 세계의 오지나 미탐험 지역을 여행하며 식물을 탐색하고 채집했다.
- 이 과정에서 험난한 지형, 질병, 기후 변화, 때로는 원주민과의 갈등 상당한 위험을 감수해야 했다.
- 식물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탐험 기술, 생존 능력, 외교력 등이 필요했다.
- 채집한 식물은 종자, 삽수(cuttings), 살아있는 식물체 또는 건조된 표본 형태로 가져왔다.
- 의뢰자는 왕족, 귀족, 부유한 개인 수집가, 식물원, 상업적 묘목장, 과학 협회 등이 플랜트 헌터의 탐험을 후원했다.
*유명한 플랜트 헌터
- 로버트 포춘 Robert Fortune :중국에서 차나무를 몰래 훔쳐 인도로 가져온 것으로 유명하다.
- 조셉 후커Joseph Hooker : 히말라야 등지에서 많은 식물을 수집했으며, 왕립식물원의 원장을 지냈다.
- 데이비드 더글라스 David Douglas: 북미 지역에서 더글러스 전나무(Douglas Fir)를 포함한 많은 식물을 유럽에 소개했다.
- 어니스트 헨리 윌슨 Ernest Henry Wilson :중국에서 약 2000여 종의 아시아 식물을 서양에 소개했다.
*현대의 플랜트 헌터
- 과거와 같은 의미의 '플랜트 헌터'는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생물 다양성 보존에 대한 인식 증가, 국제 협약(나고야 의정서 등), 생물 자원 주권 문제, 윤리적 문제( biopiracy)즉 선진국의 식품 , 의약 기업들이 개도국에서의 생물학적 자원 무단 이용 및 수탈 등의 문제 때문이다.
- 현대에는 주로 식물학자나 연구자들이 엄격한 허가와 규정 하에 과학 연구, 보존, 교육 등의 목적으로 식물을 채집한다. 이는 식물 채집(plant collecting)이라는 용어로 더 자주 불린다.
- 일부에서는 여전히 희귀 식물을 찾아 정원을 꾸미거나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전문가를 '플랜트 헌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재 활동하는 사람을 일본의 니시하타 세이준이 있다.
말하자면 플랜트 헌터는 과거 탐험 시대에 새로운 식물을 찾아 위험을 무릅쓰고 전 세계를 누비던 탐험가이자 식물학자라고 할 수 있다.
'참고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llmark-card poets - 카드에 인사말 쓰는 작가 (0) | 2025.05.15 |
---|---|
헤라클레이토스의 '판타 레이(Πάντα ῥεῖ) (0) | 2025.05.12 |
팔라딘, 샤를마뉴의 12기사, 판타지 속 성기사 holy knight (3) | 2025.04.20 |
불멸의 롤랑, 중세 프랑스의 유명한 서사시 롤랑의 노래 (1) | 2025.04.20 |
역사 소설, 판타지,SF 등에 등장하는 신비의 단어-울티마 툴레 ultima Thule (2) | 2025.04.17 |